기존에 Smart Life 앱과 스마트싱스, 구글 홈에 연동 시켜 사용하는 WiFi 연결 스위치를 사용하다가 ST 허브2를 구입 한 이후로 Zigbee 생태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를 하나 구매했다. 가급적 모든 IOT 기기를 Zigbee 제품을 들이거나 바꾸어가 갈 계획이다. 필자가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의 방이나 거실은 아파트 관리 앱 또는 월패드에서 일괄 조작이 가능하나 화장실은 조작이 불가하다. 화장실에는 세면대 쪽, 샤워부스 쪽, 환풍기 이렇게 3개의 선이 들어가는데 이 걸 아파트 자체 스마트 시스템으로 조작하기가 어려웠던 듯하다. 다른 벽면 스위치를 살펴보면 중성선이 다 스위치까지 이어져 있는데 화장실만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인입선을 연결해 중성선을 스위치까지 끌어다 놓는 작업까지 손수했다. 다행이도 전선관이 여유가 있어 쉽게 중성선을 연결할 수 있었다.
중성선이 필요한 스튀치를 사용하려면 중성선의 개염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필자도 처음에 중성선 개념을 잡기가 어려웠다. 특히나 중성선은 처음 들어봤기에 더더욱 그러했다. 전류가 들어와 빠져나가는 길을 중성선이라 지칭하는 건 전기 알못으로서 혼란이 올 수 밖에 없었다. 이런 건 이론으로 접하기 보다 그냥 전기가 나가는 길, 직류의 마이너스와 비슷한 개념이라 이해하고 넘어가는 게 상책이었다. 그 정도로 이해하니 스위치에 중성선이 왜 필요한지 이해가 되어 작업하는데 수월했다.
Zemismart Zigbee 벽스위치 3갱 (중성선 필요) 알리익스프레스 직구
스마트 스위치는 국내에서 구매하긴 쉽지 않다. 종류도 많지 않고 값도 비싸다. 자연스레 중국으로 눈을 돌릴수 밖에 없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제품으로 구매했다. 주문한지 약 20여일 만에 도착했다.
[알리익스프레스] Zemismart-Tuya Zigbee 3.0 푸시 라이트 스위치, SmartThings 스마트 라이프 컨트롤 물리적 벽 스위치
지그비 플랫폼에서 사용가능하고 중성선이 필요한 3갱 스마트 스위치다.
이미 와이파이 제품을 사용해 왔기에 디자인은 낯설지 않다. 특히 버튼을 누를 때 클릭감이 좋다. 이런 물리적 버튼이 있는 기계식 제품이 터치방식의 스위치 보다 사용하기 좋다.
3갱 제품이어서 Load 3 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만 zigbee연결이 가능하나 st 로컬 연결이 아닌 st 클라우드 연결 제품이다. 아질까지는 1갱이 아닌 2갱 이상 제품은 모두 클라우드 연결 방식만 지원한다.
추후에 필요할 수 도 있을 것 같아 설명서 일부를 사진에 담았다.
흥미로운 대목은 st 허브에 연결하는 방법은 한글 설명이 들어가있다. 아무래도 zemismart 제품이 한국에서 인기를 끌다보니 헌국어 지원도 하는 듯하다. 다만 이곳에서 알려준대로 하면 2번 째 스위치까지는 인식이 되지만 3번째 스위치는 st에서 인식이 되지 않는다. ST&IOT 네이버 카페의 부엉이님의 DTH를 활용해야 한다.
중성선 작업
전선인입선(요비선)을 전선관(CD관)에 넣고 쭉쭉 밀어 넣는다. 화장실 천장에 인입선이 나오면 인입선에 전선을 연결한 후 스위치 쪽에서 잡아 연결한 전선이 나올 때까지 잡아 당긴면 전선 삽입을 쉽게 할 수 있다. 물론 전선관에 여유가 있을 때 가능한 이야기다. 여유가 없는 경우엔 전선삽입에 어려움을 격을 수 있다. 이 경우 윤활용 기름(가정에서 쓰는 식용류)을 전선에 발라주면 조금 수월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새로 삽입한 전선은 천장에서 전기가 나가는 선, 중성선과 연결해주면 된다.
Zigbee 스위치가 도착하기전 임시로 사용한 WiFi 스마트 스위치
Zigbee 스위치를 주문하고 배송이 오기까지 가다리는 동안이 중성선 작업을 한 후, 그냥 두기 아쉬운 마음에 전에 사용하던 WiFi Tuya 2갱 스위치를 설치해두었다. 2갱이어서 샤워실 조명과 환풍기 전선을 두 번재 스위치 한 곳에 연결해 두고 사용했었다. 샤워실 조명과 환풍기를 같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배송이 오기까지 기다리는 동안 잘 작동해 주었다. Zigbee 3갱 스위치가 도착 한 후, 곧바로 스위치를 제거 한 후 새로 스위치를 달았다.
Zigbee 스위치 연결
전선이 들어가는 위치를 잘 확인 한 후, 해당 위치에 맞게 전선을 각각 채결해 두었다. 이 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두꺼비 집의 전원을 내리고 작업해야 감전, 합선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안전을 위해 전기가 통하지 않는 코팅된 장갑이나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하면 훨씬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다.
전선 작업을 마치고 벽면에 잘 고정을 해두었다. 이후 각각의 스위치를 켜고 꺼보면서 전원이 잘 연결됐는지 확인을 한다. 각각 전선 연결이 잘 되었다. 이후 ST 허브를 이용해 ST에 연결을 해야한다. 위에서도 언급했던 것처럼 Zemismart에서 제공하는 코드로는 세번째 스위치가 잡히지 않는다. Zemismart 코드 대신에 아래 링크에서 제공하는 코드를 사용하면 3번째 스위치도 정상적으로 잘 잡히고 작동한다.
[알리익스프레스] Zemismart-Tuya Zigbee 3.0 푸시 라이트 스위치, SmartThings 스마트 라이프 컨트롤 물리적 벽 스위치
SmartThings Hub 2 (STH-ETH-250) 이베이 중고 언박싱 내돈내산
IOT의 편리함에 눈을 뜬 이후로 집안 곳곳을 IOT 기기로 수 놓고 있다. 각방의 전등을 음성명령으로 제어하는가 하면 선풍기 에어컨 작동도 OK 구글 하나로 해결하고 있다. 허나 IOT를 알면 알수록
blog.hangyeong.com
IOT 전동 커튼 셀프 설치 (투야 Zigbee 커튼 모터 + 마마바 전동 커튼 레일) 내돈내산 DIY 후기
IOT의 세계에 입문하면서 간단히 전등을 음성으로 켜고 끄는 정도 만으로도 신세계를 만난듯한 기분이 들었었다. 그러다가 HA를 조금 건들이기 시작하면서 화장실 전원이 켜지면 음악이 나오도
blog.hangyeong.com
버튼형 스마트 스위치 (중성선 필요) DIGOO DG-S811, 스마트 홈 구축, 알리익스프레스 스마트 컨트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한 달 가량 기다려 받은 스마트 스위치, 설 연휴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중국내 배송이 거의 멈춰 있다가 중국내 춘절이 끝나고 드디어 받게 됐다. 뭐 한 달 가량은 기본적
blog.hangyeong.com
안녕하세요!
문의드릴께요
제가지금 현재 셀프인테리어중인데 ㅜㅜ
기존 화장실 1구스위치에 (화장실벽등 스위치만 있었음)
지금 3구스위치가 되어야되는데 (천장다운라이트,환풍기,플랩장간접조명이 들어감)
배관이꼬였는지 스위치서부터 입선이 안되고
화장실 내부에서 선을 딴거라 스위치는 1구선밖에없으니 스마트스위치를 사라고합니다.
어디서어떤걸 구매해야 가능한가요? 중성선없는걸로 사라했는데
검색해봐도 알리에서는 많이나오는데 시간을놓쳐서 국내에서 구해야합니다ㅜㅜ
Iot스위치, 터치스위치, 스마트스위치 등등 많은데 정말감을못잡겠어요ㅜㅜ
조언부탁드려요
문의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국내에서 구입하신다면 다원에서 나온 제품을 많이 쓰더라구요. 다만 알리 중국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당히 비쌉니다.
그리고 1선으로 한다면, 제약이 많습니다.
셀프 인테리어를 하더라도 산 인입방볍을 유튜브에 찾아보면 금방 익히실 수 있으니 기기마다 조작이 가능하도록 배선을 다시 하는 걸 권장합니다. 스마트 스위치를 하더라도 선이 하나라면 다른 기기를 개별 조작하기 쉽지 않습니다. 물론 머리를 써서 하면 가능은 하지만 어려워요. 기기마다 스마트 릴레이 장치를 모두 달아줘야 하거든요. 그리고 가상 스위치까지 연동시켜야 할 듯한데 처음 이 작업을 한다면 많이 어려울거예요. 가장 쉬운게 선 인입입니다.
잘봤습니다. 마지막 그림에 세면대, 샤워실 같은 글씨가 자연스러워 보이는데 어떻게 넣으신걸까요?
맨 마지막 사진은 이해를 돕기 위해 포토샵으로 글씨를 넣은거예요. 실제는 해당 글씨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