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13 윈도우에서 마우스 휠 스크롤 속도 조절 방법 휠마우스를 처음 경험해보고 신세계를 경험한 후로 줄 곳 휠 마우스를 이용해 왔다. 벌써 그게 20년도 넘었다니 격세지감이다. 최근 웹브라우저에서 마우스 휠을 이용해 스크롤을 하다가 이동 간격이 너무 적어 답답함을 경험했다. 커세어 마우스를 사용하기에 커세어 전용 프로그램인 ICUE에서 설정을 해볼까 들어가봤으나 스크롤 속도 조절관련 옵션은 찾아 볼 수 없었다. 어떻게 속도 조절을 할까 고민하다가 윈도우 자체 설정에 스크롤 속도 조절이 있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 윈도우 설정에 가서 휠 스크롤 속도를 조절 한 후 아주 쾌적한 컴퓨터 환경을 조성했다. 휠 속도 조절 하나만으로도 이렇게 가슴이 뻥 뚫린 것 같은 속시원함을 경험하고 나니 다른이도 분명히 같은 고민을 하겠다는 생각에 서둘러 휠 스크롤 속도 조절 하는.. 2022. 4. 20. 윈도우10 업데이트 끄기 방법 윈도우 10은 분기별 업데이트, 보안 업데이트 등 지원사항이 많다. 윈도우 사용자로서 늘 최적화에 힘쓰는 MS에 고마움을 느낀다. 그리고 수년전 정품 윈도우 10을 한 번 구매한 이후에 계속해서 OS가 버전업으로 돈벌이로 삼지 않고 지원이 이어지니 이용자 입장에서 상당히 만족스럽다. 그래서 가급적 윈도우 정품 구매를 주변인에게 추천하는 이유다. 가격도 이전에 비해서는 많이 저렴해졌기에 개인이용자라 할지라도 충분히 투자할 가지가 있다. 휴대용 노트북을 구매할 때도, 윈도우 10이 포함된 제품을 구매했고 집에서 편히 사용하는 데스크탑을 구매할 때도 윈도우가 내장된 브랜드 PC를 구매해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대부분 윈도우가 기본 OS이다. 몇몇 기기는 우분투를 설치해 이용중이긴 하다. 이는 어린 시절 처음 .. 2021. 1. 4. 윈도우10 블루투스 기기 제거 실패 해결방법 최근 사용하던 컴퓨터의 랜카드를 가장 최신에 출시된 Intel AX200NGW로 교체했다. 와이파이6 최신 기술이 탑재됐으며 블루투스도 5.1이 내장되어 있다. 새로 교체한 랜카드와 관련한 리뷰는 추후에 다루기로 하고 이 글에서는 교체한 후에 이전 랜카드에 페어링 됐던 기기를 제거하고 새로 페어링 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려 한다. 특히, 랜카드를 교체하면 이전 사용하던 카드에 페이링 했던 기기가 새로 교체하면서 제거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이유로 페어링된 기기가 제거되지 않을 경우 이 글의 방법으로 기기 제거가 가능하다. 즉, 이 글에서는 윈도우10을 사용하는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해 연결한 기기의 연결 해제가 되지 않을 때, 기기 제거가 되지 않을 때 해결.. 2020. 11. 16. 윈도우 10 작업 표시줄 검색창, 콘타나 버튼 없애기 윈도우 10이 점차 업데이트 되면서 새로운 기능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바탕화면 작업 표시줄에 검색장과 콘타나 아이콘이 시작버튼 바로 옆에 위치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허나 필자와 같이 이전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사용자는 왠지 눈에 성가시다. 검색창이 크게 있는 것도 사용하지 않는 그리고 한국어는 지원하지 않는 콘타나 아이콘이 자리를 차지하는게 못마땅하다. 그래서 해당 기능을 축소 또는 안보이게 해두었다. 필자와 같이 검색창과 콘타나 단축 아이콘을 안보이게 하는 법을 이 글에서 소개하도록 하겠다. 저 윈도우를 설치하거나 최신으로 업데이트 했을 경우위에서 보이는 이미지와 같이 검색 창과 군 탄 아이콘이 바탕화면 작업 표시줄에 기본적으로 나타난다. 이것을 없애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2020. 11. 12. 윈도우 10 컴퓨터이름 변경하기 컴퓨터 마다 이름이 있다. 윈도우10을 새로 설치하면 사용자가 따로 지정하기 전에 OS에서 자동으로 알수 없는 알파벳의 조합으로 이름을 부여한다 이런거에 민감하지 않는 사용자라면 그냥 사용해도 된다. 허나 홈 네트워크 등을 이용한다면 상황이 달라진다.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를 검색할 때, 컴퓨터 이름이 뜨기 때문이다. 알 수 없는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름으로 된 컴퓨터라면 검색도 쉽지 않을 뿐더러 바로 찾아가기도 수월찮다. 네트워크 뿐만 아니더라도 컴퓨터 이름 정보를 수집해 가는 구글이나 MS 등 여러 서비스에서도 컴퓨터 이름을 알 수 있는 이름으로 해 두면 쉽게 로그인 등의 기록을 확인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자 그럼 익숙한, 아니 알아보기 쉬운 사용자의 이름 지정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다.. 2020. 9. 24. 윈도우 10 바탕화면 아이콘 크기 조절 방법 필자는 32인치 QHD 모니터와 27인치를 데스크탑에 사용하고 있다. 큼직큼직막한 화면에 글씨며 아이콘이 시원시원하게 잘 보인다. 가끔 노트북 13인치 모니터에서 작업을 할 때면 이런 시원함에 익숙해져 버린 눈이 노안이 찾아왔는지 글씨를 읽고 아이콘을 찾는데 버벅거린다. 아이콘 크기 변경이 필요하다. 필자와 같은 이유로 아이콘 크기를 크게 조절 하고 싶은 경우도 있을 수 있고 혹은 그 반대의 경우인 바탕화면의 아이콘 크기가 커서 작게 줄이고 싶을 수도 있다. 사실 그 기능이 간단하지만 혹시나 찾는 이들이 있을까 하여 글을 적어본다. 윈도우 바탕화면 아이콘 크기 조절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바탕화면에서 빈 공간에 마우스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 메뉴를 불러온다. 활성화 된 메뉴 중에서 보기를 선택해 들어가면.. 2020. 9. 23. 윈도우 10 원드라이브(OneDrive) 동기화 폴더 변경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원드라이브가 처음 공개된 이후로 줄 곳 이용해오고 있다. 그 사이 구글 드라이브나 드랍박스 등도 사용해 봤지만 윈도우10을 주력으로 사용하다보니 잡다하게 다른 걸 설치하고 설정하기 보다는 기본 내장된 기능을 사용하는게 훨씬 편하고 원드라이브도 처음 출시와는 달리 점점 윈도우와 공유, 동기화 등 클라우드 자료 보관 기능이 탁월해 불편함 없이 잘 사용하고 있다. 오늘 윈도우를 재설치 하는 과정에서 설치과정을 신경쓰지 않고 단계를 넘기다 보니, 동기화 폴더를 따로 지정해 준다는게 실수로 그냥 기본값으로 설치가 되버렸다. 평소에 위치를 지정해 놓고 사용하고 있기에 그곳으로 동기화 폴더를 옮기기 위해서 동기화 폴더 변경 작업을 했다. 사실 말이 원드라이브 동기화 폴더 변경하는 .. 2020. 9. 2. 윈도우 10 다운로드 폴더 경로 변경 방법 윈도우 10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다운로드 폴더가 지정된다. 일반적인 위치는 C드라이브 내 사용자, 사용자 명 내에 다운로드 폴더가 지정된다. 운영하고 있는 디스크가 하나라면 따로 바꾸지 않고 그냥 사용하는게 대중적인 방법이긴 하나, 디스크를 여러개 사용한다면 다운로드 폴더를 지정해 주는 편이 좋다. 특히 SSD에 OS를 설치하고 사용하고 있는 경우, SSD는 가급적이면 동적인 파일을 두고 HDD에는 정적인 파일을 두어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가 여러개라면 다운로드 폴더를 따로 지정해 두었을 때, 윈도우를 다시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그대로 저장이 되어 있어 다시 자료 보관에 유용하다. 간단히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다운로드 폴더 위치 변경방법을 이 글에서 .. 2020. 9. 2. 윈도우10 드라이브 문자 변경 (D드라이브 E드라이브) 필자의 데스크탑 컴퓨터에 SSD 2개, HDD 1개 그리고 외장하드도 연결이 되어 있다. 윈도우를 재설치 하고 기초 설정을 하는 중에 드라이브가 제각기 뒤죽박죽 엉켜있는 걸 발견했다. 기존에 필자가 지정해 놓은 그대로가 아니라 윈도우 설치하면서 드라이브 문자가 재지정 된 듯하다. 특히, USB 드라이브가 앞순위에 지정되어 있어 그냥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그래서 바로 필자가 평소에 지정해 놓는 드라이브 명으로 변경을 진행했다. 과거에는 디스크 관리자 같은 유틸이나 F디스크 등으로 변경을 했지만 요즘엔 윈도우 내장 기능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지금부터 그 과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윈도우 10에 기본 내장되어 있는 기능이기에 큰 어려움 없이 누구나 따라할 수 있다. 파일 탐색기를 실행시키는 것 부터 시작.. 2020. 9. 2. 윈도우10 바탕화면 상태표시줄 날짜 표시란에 '요일' 추가하는 법 컴퓨터로 윈도우 환경에서 작업하는 시간이 많아 주로 시간과 날짜를 확인 할 때, 자연스레 우측하단을 보게된다. 시간과 날짜가 고정적으로 그 자리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또 급하게 일정을 볼 때도 날짜 부분을 클릭하면 달력이 활성화 되어 아주 편리하게 사용학고 있다. 단점이라면, 요일표시가 바로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상태표시줄을 세로로 우측이나 좌측에 놓으면 요일이 표시가 되지만 기본값인 하단에 가로로 배치하면 시간과 연월일만 보여진다. 간혹 요일을 확인할 때 날짜를 클릭해 달력으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경우 날짜에 요일이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어 소개한다. 필자는 위와 같이 날짜 바로 옆에 (요일)이 표시가 된다. 이렇게 표시하는 방법을 아래 이미지와 함께 그 과정을 설명하겠다. 먼저,.. 2020. 7. 29. 이전 1 2 다음